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지구의 대기권_ 대류권, 성층권(오존층), 중간권, 열권 지구의 대기권에 대해 과학시간에 공부 해본적 있으시죠? 오늘은 대기권을 크게 4개의 층으로 나누어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대류권, 성층권(오존층), 중간권, 열권 이렇게 각 층에서의 특징을 자세히 아래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지구의 대기권 지구의 표면 온도는 약 15도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하지만 지표면으로부터 1~5km 사이의 층인 대류권에서는 기온이 크게 변하는데요, 이 곳에서의 변화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기’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층이지만 태양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면서 지구 전체의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번 주제는 “지구의 대기”입니다. 사계절이라는 말은 봄, 여름, 가을, 겨울 4개의 계절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한 해 동.. 2023. 12. 18.
지구의 핵, 내부 구조_지각, 맨틀, 외핵, 내핵 지구의 핵은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가 알고있는 지구의 표면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죠? 이렇게 거대한 지구의 중심부엔 엄청난 압력과 열이 존재하고 이 곳을 ‘지구의 핵’이라고 부릅니다. 지구의 핵을 구성하는 지각, 맨틀, 외핵, 내핵에 대해 자세하게 셜명드리겠습니다. 지구의 핵 지구의 핵은 고체인 맨틀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매우 뜨거운 액체 상태입니다. 온도가 무려 1,000°C나 되기 때문에 절대 만질 수 없고, 만약 만진다면 피부가 녹아버릴지도 몰라요. 또한 밀도가 아주 높기 때문에 물처럼 흐르지 않고 단단한 형태를 유지한답니다. 지구의 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해서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항상 고온상태로 뜨겁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에너지는.. 2023. 12. 17.
시간의 정의 (날짜변경선, GMT, 썸머타임) 우리 모두는 하루 24시간을 살아갑니다. 누구에게나 공평한 이 시간. 어떻게 정하게 되고 우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날짜변경선에 대한 공부와 GMT 그리고 썸머타임까지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상의 선, 날짜변경선 날짜변경선이란 지구상 어디에서나 같은 시간인 24시간을 하루로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의 선입니다. 이 선의 동쪽과 서쪽 끝에서는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이 달라지는데요, 이를 이용해서 영국 런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세계 표준시를 정하게 됩니다. 세계표준시는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시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동경 135도를 표준시로 채택해서 일본과 동일한 시간대를 사용하고있어요. 하지만 최근 국제 사회.. 2023. 12. 16.
24절기의 대표적인 입춘, 입하(하지), 추분, 동지에 대한 모든 것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계절 변화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만든 우리나라 고유의 역법입니다. 양력으로는 매년 약 15일씩 차이가 나지만 음력으로는 거의 정확하게 들어맞는데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농사를 지을 때나 날씨를 예측할 때 이 절기들을 많이 활용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24절기에 대해 그리고 대표적 절기인 입춘, 입하(하지), 추분, 동지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절기란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 만들어진 절기는 중국 주나라때 화북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춰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답니다. 예를 들면 설날인 1월 1일은 새해 첫날이라는 의미지만 동지(12월 22일) 다음 날이기 때문에 작은 설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또한 한.. 2023.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