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천체역학_중력, 강체운동, 파동의 전파, 라그랑지역학 그리고 세차운동 오늘은 물리학의 역학의 원리를 천문학에 응용하여 천체, 주로 태양계 내의 행성, 위성, 달, 혜성등의 운동을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인 천체역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력, 강체운동, 파동의 전파, 라그랑지역학, 세차운동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 중력 중력이란 지구상의 모든 물체를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이 힘은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 의해 정의되는데요,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사과나 풍선 등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 또한 중력과 관련되어있습니다. 지구 표면에서는 둥둥 떠다닐 수 없는 이유는 우리가 사는 지구는 고체이기 때문에 지표면 위에서의 무게는 모두 지구 중심방향으로 향합니다. 따.. 2023. 12. 10.
별의 거리 측정 방법_연주시차, 변광성 주기 광도, 구상성단 오늘은 별의 거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별과 별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측정하는지 다양한 방법들을 하나 하나 소개 볼까합니다. 여러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 변광성 주기의 광도를 이용한 방법, 구상성단을 이용한 방법, 중력렌즈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 연주시차는 지구상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방법 중 하나로, 멀리 떨어진 두 지점 사이의 시간 차이를 말합니다. 우리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시차이지만, 실제로는 약 1억 5000만 km나 떨어져있는 거대한 크기입니다. 이러한 연주시차를 이용하면 우주 전체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고, 태양계 내에서는 행성간의 거리를 잴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중력이라는 힘을 받고있어요. 그래서 어떤 물체든 서로 끌어당기고.. 2023. 12. 9.
지평좌표계, 적도좌표계, 황도좌표계, 은하좌표계에 대한 모든것 오늘도 별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해 볼겁니다. 하늘에 떠 있는 별은 어디쯤에 얼마나 멀이 떨어져 있는걸까요? 별에 위치에를 알아보려면 다양한 좌표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평좌표계, 적도좌표계, 황도좌표계, 은하좌표계에 대한 모든것에 대해 자세하고 상세하게 다뤄볼겁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가로축, 세로축으로 표현하는 지평좌표계 지평좌표계(horizontal coordinate system)란 지구상의 모든 물체들을 가로축과 세로축 2개의 좌표로만 표현하는 좌표계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평면 위의 직교좌표계와는 달리 수직방향으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수평방향으로만 나타내는 좌표계이기 때문에 매우 단순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이 점에서는 단점이.. 2023. 12. 8.
별의 밝기 등급과 흑체복사 그리고 별의 스펙트럼까지 밤하늘에 떠있는 반짝반짞 아름답게 빛나는 수많은 별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별의 밝기 등급과 별 밝기와 관련된 흑체복사에 대한 설명, 그리고 별의 스펙트럼까지 아래에서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별의 밝기 등급 별의 밝기는 왜 다른지 알아 보겠습니다. 하늘에 떠있는 별 중에서도 밝은 별이 있고 어두운 별이 있습니다. 이렇게 별의 밝기가 다른 이유는 바로 별 마다 가지고 있는 온도입니다 태양처럼 뜨거운 별은 빛을 내는 표면온도가 높아서 밝게 빛나고, 지구처럼 차가운 별은 표면온도가 낮아서 어둡게 보인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별이 다 같은 온도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인데 각 별마다 가지고 있는 질량에 따라서도 가 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서 에너지를 만들어내.. 2023. 12. 7.